2025. 5. 12. 18:46ㆍIT 라이프/AI
GPT는 절차 기반 작업에 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보완하는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GPT = 지금 이 순간 대답하는 전문가
사용자의 질문이나 지시에 대한 즉각적 응답에는 뛰어나지만, "지속적인 상태 관리"에는 약합니다. 이전 상태 기억이 없고, "조건 분기"나 "중간 결과 저장" 같은 논리 흐름에도 약합니다.
2. GPTs = 역할과 기억을 설정한 GPT
- 사용자의 Instruction, Knowledge, Tools 등을 세팅해서 특정 역할에 특화시킨 GPT를 만든다고 보시면 됩니다.
- 단, 하나의 작업에 집중되도록 설계됩니다 (예: 요약 GPT)
- AI 특성: 역할 기반 정밀 작업은 가능하지만, 절차적 흐름이나 단계별 논리 전개에는 제약이 있음.
3. Function + GPT API = GPT에게 툴을 넘겨주고 제어하는 구조
-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파일명을 기준으로 날짜별로 정리해줘"라고 요청 → GPT가 그걸 읽고 "아, 파일명 읽어서 날짜 추출하는 함수를 호출해야겠다" → 함수 호출 → 함수가 실행되고 결과를 GPT가 받아서 사용자에게 전달
- GPT 특성: 복잡한 흐름이나 계산, 조건 분기 등을 GPT가 함수 호출로 처리하며 연속 작업이 가능해짐. 즉, 결정은 AI가 하고, 실행은 함수를 통해 하게 됨.
- 즉, 우리가 할 일은 GPT가 함수를 쓸 수 있게 만들어주는 설명을 json파일로 주는 것이고, GPT는 프롬프트만으로도 언제 그 함수를 써야 할지 (LLM이) 스스로 판단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 GPT는 내장 함수가 없고, 사용자가 만든 함수 설명인 JSON Schema를 GPT에게 제공하게 됩니다.
- 그러면 GPT는 그 설명을 기반으로 적절한 시점(LLM이 판단)에 해당 함수를 호출 요청합니다(실제 실행은 외부에서 함)
{
"name": "square_number",
"description": "숫자를 제곱합니다.",
"parameters": {
"type": "object",
"properties": {
"num": { "type": "number", "description": "제곱할 숫자" }
},
"required": ["num"]
}
}
- JSON Schema는 GPT에게 함수명이 무엇인지, 어떤 인자를 받고 어떤 기능인지 알려주기 위한 설명서이므로 반드시 필요합니다.
- GPTs 설정창에서는 JSON Schema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GPT API에서 사용합니다.
4. LangChain/AutoGen = GPT를 모듈처럼 묶어서 'AI 워크플로우'를 만드는 툴
- LangChain
- GPT 호출들을 단계별로 연결해 처리하는 파이썬 프레임워크
- 각 단계는 함수, 도구, DB 호출, 사용자 입력 등 자유롭게 설정 가능
- 기본은 순차적 흐름이지만 조건 분기, 반복, 메모리 사용 등 확장 가능
- 예를 들어 "블로그 글 써줘"라고 요구 → GPT가 키워드 추출 / 관련 뉴스 요약 / 글 구성 / 글 완성 / 요약까지 전부 묶어서 하나의 흐름으로 관리
- AutoGen
- 여러 AI 역할을 나눠서 협업시키는 구조
- 예를 들어 planner, coder, tester, writer 별로 각각의 GPT가 각각의 요청을 나눠서 처리
- AI 특성: GPT 하나는 멀티태스킹에 약하지만, 역할을 여럿으로 나눠서 일하면 결과가 좋음.
'IT 라이프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T가 파일 내용을 금방 잊는 이유, 정확하게 다루는 방법 (0) | 2025.05.13 |
---|---|
GPT는 문맥을 읽는다면서 왜 엉뚱한 답을 할까? 똑같은 질문에도 답이 다른 이유 (0) | 2025.05.12 |
GPTs 구성 요소 3가지 및 GPTs가 잘 맞는 task 종류 (0) | 2025.05.12 |
AI(Chat GPT, Claude) 구독료, 카드로 환급/할인 받자 (2) | 2025.05.04 |
AI 구독료(Claude, Chat GPT) 절감 방법, 싸게 구독하는 방법 최종 정리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