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5. 22. 18:20ㆍ일상과 건강/일상
"별로 화난 거 같진 않네요."
"제가 누군가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었다는 뜻이니 나쁜 일은 아니죠."
- <명탐정 몽크(Monk)> 중
몽크는 길을 가던 중 어떤 사람에게 총격을 당했다. 그것도 대낮에,
범인은 차를 타고 가며 노골적으로 총을 난사했다.
다행히 몽크는 총알을 단 한 발도 맞지 않았다.
그리고 심리상담사를 찾아갔는데 그가 몽크에게 별로 화가 안난 거 같다고 말한다.
그에 대해 몽크가 한 말은 나에게 꽤나 의미있게 와 닿았다.
"제가 누군가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었다는 뜻이니 나쁜 일은 아니죠."
왜 이 장면이 와닿았을까?
보통은 총격을 당했으면 충격받거나 분노할텐데, 몽크는 거기서 "누군가를 불편하게 할 만큼 진실에 가까워졌다"는 자기 방식의 의미로 해석해냅니다.
물론 이건 몽크라는 캐릭터이기에 가능한 해석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보통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그 순간에 작은 위로처럼 다가온 것 같기도 합니다.
사건 속 맥락에서 이 대사의 '누군가'란 '진짜 범인'을 의미하기 때문에 진실에 가까워졌다는 사실을 뜻하죠. 따라서 몽크의 말대로 그런 의미에서는 '나쁜 일은 아닌'게 맞죠.
근데 이 맥락 속에서의 말이 아닌, 대사만 놓고 보면 좀 다르게 해석이 가능해서 다르게 느껴집니다.
보통 제 경우에는 '누군가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었다'면 그 '누군가'가 누구든 관계없이, 그 자체를 인지하는 것만으로도 다시 불안하거나 기분이 별로 안좋아지는데요.
몽크의 다른 많은 에피소드를 보면 사람들과의 관계를 반드시 좋게 가져야 한다는 강박이 하나도 없는 사람으로 보여요.
그래서 이런 식으로도 생각하게 되었어요:
만약 그 '누군가'가 나에게 잘못한 사람이라면, 지속적이고 간헐적으로 내게 잘못을 한 사람이라면, 그 쪽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든다는 건 꼭 나쁜 일일까? 아니, 오히려 괜찮은 일 아닌가?
이건 어쩌면 나 자신에게 해주고 싶었던 말인지도 모르겠어요.
혼란 속에서도 '질서'를 찾아내는 사람
몽크는 강박이 있고 불안에 잘 시달립니다.
정리되지 않은 사물, 예측할 수 없는 사람, 갑작스러운 감정의 변화들.
그래서 그는 언제나 세상에 자신의 방식대로 질서를 부여하려 애쓰죠.
저도 불안이 높아질 때가 있는데 그럴 때 저는 그 불안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각을 동원하고 빠르게 그 상황을 지워버리는 방식으로 스스로를 보호합니다. 몽크가 쓰는 방식도 그가 스스로를 지키려고 시도하는 방법일 뿐 대단하다고 생각하는 건 아녜요.
다만, 혼란에 휩쓸려가지 않고, 그 안에 있을 수 있으면서 자기 나름의 질서나 해석을 찾아내는 시간을 갖고 넘어간다는 점에서는 저도 그럴 수 있었으면 좋겠단 생각이 든달까요.
매몰되지 않고 여백을 남겨둘 수 있는 사람
자신의 목숨이 위협당한 상황에 처하면 누구나 패닉에 빠지기 쉬울거예요. 이런 식으로 사람마다 자신이 끝까지 몰렸다고 느낄 때가 딱 매몰되기 쉬운 상황일텐데요.
몽크는 이 때에도 항상 어떤 여백을 가진 사람이란 생각이 들어요. 그건 자기 나름의 유머가 될 수도 있고, 통찰이 될 수도 있을거예요. 그런 걸 계속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게 좀 멋져보이긴 합니다.
'일상과 건강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f 암호 해제 간단하게 하는 방법 (0) | 2025.05.27 |
---|---|
키움증권 (영웅문s#) 어플에서 신분증 인식 계속 실패 - 개선의지 없음 (3) | 2025.05.22 |
봄맞이 분갈이 (2) | 2025.05.21 |
루나랩 듀얼 전동 데스크 ASr 에러 메시지/오류 코드 (1) | 2025.05.06 |
서울 지하철 하차 후 15분 재승차, 환승 적용 조건 완벽 정리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