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61)
-
틀로 찍어 만든 비건 쿠키 (하다앳홈님 레시피 후기)
하다앳홈님의 레시피로 만들어본 비건 쿠키 후기입니다. 비건 쿠키로 검색하면 쿠키틀로 찍어내는 레시피는 안나오던데 하다앳홈님은 모양틀로 찍어내셔서 이 레시피를 선택했어요.왜냐하면 저는 쿠키를 만들고 싶었다기 보다 이 쿠키커터를 사용하고 싶었거든요. 전에 우연히 본 일드에서 잠깐 나왔는데 너무 귀여웠으나 아마존까지 뒤져도 못구한 모양의 쿠키커터였거든요.근데 친구가 일본 갔다가 찾아냈는데 진짜 똑.같.은 쉐입의 쿠키 커터라서 둘 다 소오름!!! 👍 저는 평생 못찾을 줄 알았거든요ㅋㅋ 재료- 아몬드 가루 130g- 소금 1g- 메이플 시럽 또는 꿀 60g (저는 아가베 시럽 썼어요)- 코코넛 오일 또는 무염 버터 15g- (저는 생략) 바닐라 익스트랙트 2.5ml- 카카오가루 대충 1T (취향 따라 시나몬 가..
2025.05.17 -
공모주 청약, 균등배정과 비례배정 빠르게 이해하자! (feat. 달바글로벌)
균등, 비례 배정은 따로 신청하지 않아도 되며, 최소 증거금 이상을 넣어두면 증권사가 알아서 배정하게 됩니다. 균등 배정이란?균등 배정이란 최소 증거금으로 청약한 모든 사람들에게 균등하게 나눠주는 것입니다.균등 배정의 경우 증거금보다 청약 건수에 주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공모 물량이 100주인 주식에 200명이 몰렸다면 추첨을 통해 2명 중 1 명에게 1주를 배정합니다. 비례 배정이란?비례 배정은 많은 수량을 청약한 사람에게 더 많은 주식이 돌아가는 방식입니다.최소한 경쟁률 이상의 물량을 신청해야 주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쟁률이 100:1이라면 적어도 100주 이상을 청약해야 1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달바글로벌 공모주 청약어제 달바글로벌 공모주에 청약을 넣었는데요.균등 배정만 노릴 것..
2025.05.13 -
GPT가 파일 내용을 금방 잊는 이유, 정확하게 다루는 방법
"위에 업로드한 파일의 요약 다시 보여줘"라고 했을 때 요약을 못한다고 느끼신 경험 있으신가요? 처음에는 파일의 내용을 잘 알고 내 질문에 답한 것 같은데 고작 몇 턴 이후에는 해당 파일을 기반으로 한 질문에 대한 답을 잘 못해서 갸우뚱한 기억이 있습니다. 제가 기대한 건 파일을 한 번 줬으면 해당 세션의 대화(=대화창)에서는 필요할 때마다, 혹은 매 번 읽거나 읽을 수 있다고 생각했거든요. GPT 4o 기준으로 현재 256K 안의 context window에 포함되어 있다면 더더욱이 말이죠. 업로드한 파일은 어느 시점에 읽고 어떻게 활용해?- 파일을 업로드하면 GPT는 파일을 업로드한 때(turn)에서만 내용을 파싱(읽고 요약)합니다.- 파일이 context window에 텍스트로 삽입되는 것과 유사한..
2025.05.13 -
GPT는 문맥을 읽는다면서 왜 엉뚱한 답을 할까? 똑같은 질문에도 답이 다른 이유
1. GPT가 context window 안에 들어간 이전 내용을 기억한다면 "상태 기억이 없다"는 건 틀린 말 아냐?GPT가 기억하는 건 이전 대화 내용이 아니라, context window 안에 있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이건 명확하게는 기억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처음에 A라고 말했고, 두 번째에 B라고 말했고, 세 번째에 C라고 말했을 때, GPT는 이 세 가지를 기억한다기보다는, 세 문장을 모두 집어넣고 거기서 최종 답을 도출하는 겁니다. 그래서 중간 상태를 내부적으로 저장하고 활용하지는 못합니다. 즉, GPT는 기억처럼 보이는 문맥 기반의 추론은 잘하지만, 진짜 상태 전이를 추적하거나 저장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절차적 흐름에 약해요. 다만 문맥 안에 잘 정리된 절차가 있다면 따라오는건 잘 할..
2025.05.12 -
GPT는 한계가 있다? 절차와 흐름을 보완하는 실전 도구들
GPT는 절차 기반 작업에 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보완하는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GPT = 지금 이 순간 대답하는 전문가사용자의 질문이나 지시에 대한 즉각적 응답에는 뛰어나지만, "지속적인 상태 관리"에는 약합니다. 이전 상태 기억이 없고, "조건 분기"나 "중간 결과 저장" 같은 논리 흐름에도 약합니다. 2. GPTs = 역할과 기억을 설정한 GPT- 사용자의 Instruction, Knowledge, Tools 등을 세팅해서 특정 역할에 특화시킨 GPT를 만든다고 보시면 됩니다.- 단, 하나의 작업에 집중되도록 설계됩니다 (예: 요약 GPT)- AI 특성: 역할 기반 정밀 작업은 가능하지만, 절차적 흐름이나 단계별 논리 전개에는 제약이 있음. 3. Function + GPT API = ..
2025.05.12 -
GPTs 구성 요소 3가지 및 GPTs가 잘 맞는 task 종류
GPTs 구성 요소 3가지1. Instruction- 핵심 역할: GPT에게 "넌 어떤 역할을 해야 해"라는 지침을 줌- 예: "너는 사용자가 올린 글씨체 파일을 분석해서 비슷한 스타일을 추천하는 디자이너야."2. Files- 사용자가 대화 중 채팅창에서 직접 업로드한 파일 (일시적)- 업로드하면 GPT가 한 번에 읽고 그 세션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음3. Knowledge- GPT를 만들 때 미리 올려두는 지속적인 참조 자료- 이건 그 GPT 안에서 항상 기억하고 있는 자료로 작동 GPTs가 잘 맞는 task- GPTs는 역할 기반의 단일 목적 작업에 강합니다. 이유는 Instruction과 예시 몇 개로 작업 단위 하나씩 훈련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자동화된 파이프라인"처럼 유연하게 조합되는 ..
2025.05.12